Algorithm, Data Structure/Data Structure (2) 썸네일형 리스트형 [자료구조]스택(Stack) 스택에 대한 간단한 설명 스택(Stack)은 기본적으로 배열과 비슷한 형태의 자료구조다. 하지만 push와 pop이라는 연산이 있다는 것이 배열과는 차이가 있다. 밑에서 다시 한 번 다루지만 간단하게 보자면 다음과 같다. push : 원소를 삽입하는 연산이다. pop : 가장 마지막에 삽입 된 원소를 삭제 연산이다. 스택은 push와 pop을 통해 배열과는 다르게 원소의 삽입과 삭제가 자유롭다. 하지만 임의의 원소에 접근 하는데는 배열이 더 우수하다. 스택은 후입선출(Last In, First Out/ LIFO)의 특징을 가졌다. 가장 마지막에 들어간 원소가 가장 먼저 빠져나간다는 것이다. 즉 스택에서 pop을 하면 가장 최근에 삽입되었던 원소가 삭제된다. 스택과 비슷한 방식으로 동작하는 자료구조로는 큐.. [자료구조] 이진 탐색 트리(Binary Search Tree, BST) BST에 대한 간단한 설명 트리(Tree)는 비선형적이며 계층적인 자료구조의 대표적인 예로 노드(node)들의 연결체로 표현된다. 이때 각 노드는 자식 노드를 0개 이상 가질 수 있고 부모 노드는 하나만 가진다. 만약 자식 노드의 개수가 최대 2개라면 그 트리를 이진 트리(Binary Tree)라고 부른다. 이진 트리 중에서 다음 성질들을 만족하는 경우 이를 이진 탐색 트리(Binary Search Tree)라고 부른다. 노드가 왼쪽 자식 노드를 가진다면 그 노드가 가지는 값은 그 부모 노드가 가지는 값보다 작다. 노드의 오른쪽 자식 노드를 가진다면 그 노드가 가지는 값은 그 부모 노드가 가지는 값보다 작다. 트리 내의 어떠한 노드 내에서도 저 성질을 만족한다. 이진 탐색 트리는 노드의 개수가 n개일 경.. 이전 1 다음